2023. 5. 17. 20:59ㆍ마케팅 공부/구글 애즈_어서와 마케팅
어서와 마케팅 2주차 _구글 애즈 상세 (2)
안녕하세요. 하루만에 돌아왔습니다.
전 날 구글 애즈의 성과를 향상 시키는 법에 대해 작성을 해보았는데요.
바로 이어서 구글 애즈의 운영 전략에 대해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
2. 구글 애즈의 운영 전략 알아 보기
구글애즈를 운영하며 필요한 4가지의 프레임 입니다.
전략을 설정하고 캠페인을 기획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광고를 집행하고 최적화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퍼포먼스 마케팅은 사실 어떠한 매체라도 4가지의 프레임을 바탕으로 광고를 운영하며 전략 설정에서 최적화를 진행하고 최적화를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다시 기획하는 등 반복적으로 개선작업을 진행합니다.
그럼 4가지의 프레임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략 설정
전략에는 어떠한 것이 필요할까요?
우선 KPI가 필요합니다. KPI란 풀어서 Key Performance Indicator이라는 뜻인데요.
광고를 집행하기전 핵심성과지표. 즉, 정량적인 지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ex. 광고집행 후 우리의 웹페이지 방문자수 1만명에서 2만명으로 증가시키기)
KPI가 필요한 이유는 특정 기준이 있어야만 광고를 운영하는 사람도 그 지표를 향해 개선해야겠다는 프레임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목표가 없다면 광고가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지 조차 모를 수도 있기에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외에는 우리 제품 및 서비스를 고객에게 잘 전달하고 좋은 효율을 낼 수 있도록 자사 브랜드의 분석 및 USP 발굴과 경쟁사 분석을 통한 차별점 찾기 등이 전략 설정에 포함 됩니다.
전략 설정 단계에서 광고를 집행하기 전 고객의 기본적인 3단계 여정에 따른 목표를 설정해야하는데요.
브랜드의 인지도가 없는 분들이라면 인지도 확보를 위한 노출, 도달, 홍보 등의 광고 목표가 필요할 것이고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는 분들이라면 고객을 웹사이트로 모으는 목표 혹은 리마케팅을 활용하기 위한 모수를 확보하는 목표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환을 목표로 잡으신 분들이라면 회원가입, 장바구니, 예약, 구매 등의 매출과 직결되는 광고 목표가 필요할 것입니다.
2) 캠페인 기획
전략을 설정했다면 그 다음은 캠페인을 구글애즈 내에서 기획합니다.
이전 글에서 설명드렸던 구글애즈에서 제공하는 전환 목표를 설정하고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을 설정하고 광고를 노출시킬 특정 고객인 잠재고객을 설정합니다.
3) 광고 집행
이제 캠페인 별 기획이 끝났다면 그룹단에서의 예산을 기획을 기반으로 분배하고 기간을 설정하여 광고를 집행합니다.
4) 최적화
광고를 운영하면서 성과를 보게 될텐데요. 맨 처음 전략 설정 당시 광고를 집행하는 사람마다 목표로 둔 KPI를 잘 달성하고 있는지, 그것이 아니라면 어떠한 부분이 부족했는지 등의 테스트를 해보며 성과를 개선해 나갑니다.
최적화를 진행할 때 필요한 기본 지표인데요. 워낙 기본적인 지표라 다들 아실 것 같습니다 ㅎㅎ
CPM은 1000번 노출당 얼마의 금액이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지표이며 CPM이 높다는 뜻은 그만큼 설정한 타겟 혹은 지면에 따른 입찰 경쟁이 치열하다는 뜻이며 CPM이 낮든 높든 결국은 운영하는 제품 및 서비스의 단가와 비교하여 운영가능한 수준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비용이 낮으면서 전환도 잘 일어나는 것이 최고 입니다.
CTR은 클릭률입니다. 기본적으로 소재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지표이며 CTR이 낮다는 것은 고객을 잘못 설정했거나 잠재고객은 잘 설정했지만 우리의 고객에게 맞지 않는 소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CVR은 전환율을 뜻하는 지표인데요. 보통 제품력 혹은 상세페이지와 연관성이 큰 지표입니다. 전환율이 낮다면 고객 후기를 보고 어떠한 부분이 부족한 것인지 혹은 경쟁사와 비교하며 어떠한 부분을 놓치고 있는지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CPA인데요. 이것은 전환당 비용을 뜻하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제품이 5만원인데요. 전환당비용이 5만원을 넘어간다면 누가 보아도 손해를 보며 광고를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럴 경우 구글이 제공하는 최대CPA를 통해 5만원 이하로 설정을 하거나 다른 잘못된 요인을 발견하여 개선을 해야겠구나 하고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이렇게 2주차에 배운 구글 애즈의 성과 향상을 위한 법과 운영 전략에 대해 모두 작성해 보았습니다.
다음 주는 구글 검색광고에 대해 자세히 배울 것 같은데요.
3주차에는 더욱 더 복습을 하여 더 영양가 많은 글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아, 혹시나 이 글을 보시고 저희 마케팅 모임에 관심이 생기신다면 편하게 채널톡으로 말씀주셔도 좋습니다.
그럼 3주차 글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마케팅 공부 > 구글 애즈_어서와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서와 마케팅 1기_4주차 기록_구글 GDN 및 PMAX (0) | 2023.05.28 |
---|---|
어서와 마케팅 1기_3주차 기록_구글 검색 광고 (0) | 2023.05.25 |
어서와 마케팅 1기_2주차 기록_구글 애즈 성과 관리 (0) | 2023.05.17 |
어서와 마케팅 1기_1주차 기록_구글 애즈 (0) | 2023.05.11 |
어서와 마케팅 1기_1주차 기록_구글 기본 개념 (2)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