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서와 마케팅 1기_1주차 기록_구글 기본 개념

어서와 마케팅 1기_1주차 기록_구글 기본 개념

2023. 5. 11. 00:23마케팅 공부/구글 애즈_어서와 마케팅

반응형

어서와 마케팅 1주차 _구글 기본 개념

 

안녕하세요. 열정 가득한 퍼포먼스 마케터 1년차 리치포레 입니다.

원래 블로그 개설의 목적은 부동산 정보와 더불어 청약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블로그를 개설한 것이었는데, 블로그의 시작을 다른 주제로 시작하게 되었네요 ㅎㅎ

 

아무튼 각설하고 글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서와마케팅을 우선 간략하게 설명드려야 할 것 같아 설명드리자면 '어서와 마케팅'은 현재 제가 주말마다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마케팅 모임 입니다. '구글 애즈'를 큰 중심으로 구글 광고를 배우는 모임이죠. 저번주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고 모임의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서와 마케팅 커리큘럼

 

1~2주차에는 Google 매체의 기본 개념 및 원리를 배우고

3~4주차에는 Google Ads의 이해를 바탕으로 최적화 및 세팅 운영에 관해 배웁니다.

5~6주차에는 Google 마케팅의 실전으로 Case Study를 통한 응용법과 데이터를 파악하는 능력을 배우게 됩니다.

 

제가 지금부터 쓸 글의 내용은 과제 및 개인 복습을 위한 글이므로 혹시나 글을 보시게 된다면 참고 정도만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본격 적으로 배운 내용을 작성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구글이 제공하는 마케팅 플랫폼들

구글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플랫폼은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각 플랫폼은 서로 상호 보완적이며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많으면 많을수록 사용자 입장에서는 유의미한 성과를 더욱 더 쉽게 낼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상세하게 구조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GMP의 구조

GMP의 구조를 살펴보면 중심에 위치한 구글 애널리틱스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관련 직종이시라면 대부분 다 아시는 플랫폼이라고 생각합니다. 바로 성과 개선을 위해 데이터를 볼 수 있는 툴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중심으로 태그매니저 (좌), 빅쿼리를 통한 데이터스튜디오 (우) 등 서로 상호보완 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구글 애널리틱스 (UA 및 GA4) - 구글이 보유한 데이터 로그 분석 툴로, 구글 광고 및 페이스북 광고 등 디지털 광고로 부터 발생한 광고 데이터 및 비광고로부터 유입된 사이트 내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석해주는 대표적인 서드파티 로그 분석 툴

 

* 구글 태그매니저 (GTM) - 구글이 보유한 이벤트 태그 및 스크립트 관리를 위한 툴로, 웹사이트나 APP 내의 발생하는 이벤트를 하드코딩 없이 간편하게 세팅하고 광고 스크립트 등을 웹사이트 내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구글 애널리틱스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보완하는 역할


그렇다면 전체적인 구조를 확인하였으니 이쯤에서 GMP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MP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은 2가지가 존재합니다.

첫 번째는 쿠키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히며, 두 번째는 구글이 제공하는 구글 신호 데이터를 통해 수집을 하게 됩니다.

 

1. 쿠키 방식

쿠키(cookie)란 사용자가 인터넷을 방문할 때 사용자 디바이스(PC, 태블릿, 모바일)에 설치되는 파일이며

쿠키에 저장된 일련의 정보를 통해 웹사이트 방문자의 Data 수집합니다.
즉, 방문자의 행동 패턴, 관심 분야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관심사/성별/연령/시간대 등 타겟팅이 가능합니다.

쿠키에 저장된 웹사이트 방문자 Data

 

쿠키 값에 대한 상세 Data

하지만 이러한 쿠키 수집 방식은 개인정보보호법 강화 정책으로 인해 현재 구글 및 애플 등 거대기업에서 점차 활용 할 수 없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글 입장) 구글에서는 두 번째 방법인 구글 신호 데이터를 활용하게 됩니다.

 

2. 구글 신호 데이터

쿠키 수집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2018년 7월에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활용 가능’ 하다고 발표를 하였으며 GA4에서 정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구글 매체에서 직접 수집한 다양한 사용자의 활동 데이터입니다.

 

구글 계정 내 확인할 수 있는 신호데이터

구글 계정의 설정을 자세히 보시면 기본적으로 신호데이터가 활성화로 되어있습니다. 계정의 주인이 임의로 비활성화를 하지 않는 이상 이부분을 활용하여 구글은 각 계정이 반응했던 정보를 기록하여 관심사 및 인구통계 데이터로 활용합니다.

 

구글 신호데이터의 과정

 

지금까지 구글 플랫폼의 전체적인 틀과 구조에 대해서 기록해 보았습니다.

다음 글은 구글 플랫폼의 구조에 이어 '구글애즈'에 관한 상세 내용을 기록해보겠습니다.

 

혹시나 읽어주신 분이 계시다면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

다음 글에서 또 뵙겠습니다.

반응형